본문 바로가기
그리스 로마신화, 제우스, 올림푸스 역사

그리스 신화 포세이돈에 대하여

by 위아드 2022. 6. 30.

그리스 신화 포세이돈에 대하여

그리스 신화 포세이돈에 대하여
그리스 신화 포세이돈에 대하여

크로노스와 레아 사이에서 태어난 포세이돈은 제우스와 형제입니다. 제우스와 함께 티탄 신들과 싸워서 이긴 후에 바다를 통치하게 된 바다의 신이지요. 로마 신화에서는 넵튠(Neptune)이라고 부릅니다. 오늘날 포세이돈은 영화와 컴퓨터 게임에 자주 등장하는 이름입니다. '검푸른 머리의 신', '땅의 주인', '땅의 남편', ' 대지를 뒤흔드는 신' 등 땅과 관계가 깊은 이름으로 불리어졌으나 점차 세력이 약화되어서 바다의 신으로 만족해야 했습니다. 아버지 크로노스를 몰아낸 제우스, 하데스, 포세이돈, 삼 형제는 각각 하늘과 지하세계와 바다를 통치하기로 약속합니다. 처음에 이들 삼형제는 땅은 이들 삼 형제가 공동 통치하기로 했어요. 그러나 땅의 지배권을 차츰 제우스에게 빼앗기게 됩니다. 그리고 포세이돈은요, 아테네 수호신 자리를 놓고 아테네와 경쟁하여 패배하고요. 아르고스의 관할권을 놓고 헤라와 싸워서 지게 됩니다. 그리고 델포이 신전도 아폴론에게 넘겨주게 돼요. 제우스가 너무 막강해지니까 그 힘을 막으려고 헤라, 아폴론, 아테나가 연합해서 쿠데타를 일으키죠. 그렇지만 이 또한 제우스의 승리로 끝납니다. 그래서 포세이돈은 아폴론과 함께 제우스 때문에 트로이로 귀양 가죠. 거기서 트로이 성벽을 건설하는 일을 하게 됩니다. 포세이돈의 상징은 무엇일까요?

포세이돈의 상징

'삼지창 트리아이나(Triaina)'와 그 다음에 '달리는 말'입니다. 아주 유명한 명마 마리온이나 천마 페가소스가 바로 포세이돈의 자식이에요. 검푸른 바다를 무대로 삼지창을 휘두르면서 지진이나 화산 폭발 같은 무서운 자연의 힘을 자랑하는 포세이돈은 에게 해 연안의 해상무역을 중요하게 여기는 아테네 인들에게는 위협적인 존재였습니다. 아테네 인들은요, 민족적 영웅인 테세우스를 포세이돈의 자식이다 이렇게 내세우면서 아테네 근교에 있는 수니온 곶에 웅장한 포세이돈 신전을 이렇게 지어요. 그리고 포세이돈을 경배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바다의 위협과 공포를 이기고 싶어 했어요. 포세이돈은 바다의 여신 암피트리테와 결혼을 하지요. 포세이돈의 청혼을 받은 암피트리테가 바다 밑으로 수줍어서 숨어버리자 돌고래들이 두 신의 마음을 이어 주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포세이돈은 감사의 표시로 하늘에 돌고래자리를 만들어서 자기 심복으로 삼았다는 재밌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호수처럼 잔잔하던 바다가 갑자기 폭풍이 몰아치면 죽음의 무서운 공간이 됩니다. 분노한 바다의 모습은 포세이돈의 격정과 닮아 있어요. 그래서 제우스가 현실주의자라면 포세이돈은 낭만주의자라는 그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예를 들면, 트로이 전쟁에서 포세이돈은요, 전쟁 내내 열렬하게 그리스 편입니다. 그리스를 응원합니다. 왜냐하면 트로이의 라오메 돈 왕이 트로이 성 건축의 노임을, 일한 값을 지불하지 않았기 때문이지요. 그 이유로 포세이돈은요, 트로이에 등을 돌립니다. 그리고 그리스가 고안한 트로이의 목마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바다에서 큰 뱀을 두 마리를 보내서 그리스를 도와요. 그렇지만 자신이 아폴론과 함께 쌓아 올린 트로이 성이 무자비하게 파괴되니까, 트로이가 패망하게 되니까 또 마음이 바뀝니다. 그래서 전쟁에서 승리하고 귀향하는 그리스 영웅들을 폭풍 속으로 밀어 넣어요. 전쟁에서 이기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오디세우스가 10년간 겪게 되는 모험과 역경은 바로 포세이돈의 이러한 감정 폭발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포세이돈과 괴물

포세이돈은요, 유독 괴물과 관계가 많습니다. 자식들도 그 모습이 정상이라고 보기 어려워요. 괴물에 가깝습니다. 그런데 이 포세이돈과 관련된 괴물들은요, 아폴론이나 아르테미스, 페르세우스, 헤라클레스 등 제우스의 관련되는 영웅들 혹은 제우스의 자식들 혹은 그들의 신에 의해서 퇴치됩니다. 그래서 점차 포세이돈은 약화되고 말아요. 폭풍노도와도 같은 포세이돈의 힘이 약해진 것은 어쩌면 인간이 어떤 야성을 잃게 되고 자연성에서 점차 멀어진다는 것을 뜻할 수 있습니다. 또 자연과의 싸움에서 인간이 승리하면서 갖게 되는 인간의 자신감, 이런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