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리스 로마신화, 제우스, 올림푸스 역사20

올림푸스 - 그리스의 비극 올림푸스 - 그리스의 비극 이번에는 그리스 비극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술과 풍요의 신, 디오니소스를 경배하는 디오니소스 축제는 그리스의 아크로폴리스 언덕에서 그리스 연극의 태동을 시작했으며, 특히 비극을 꽃피웠습니다. 그리스에는 많은 관중들이 관람했던 야외의 계단식 원형 극장인 노천극장의 흔적이 지금도 남아있어요. 초기 그리스 비극은 배우와 합창단이 염소의 탈을 쓰고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추는 형식이었다고 합니다. 그리스 비극에서 중요한 형식 중 하나가 바로 이러한 코러스이며, 이 코러스의 전통은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와 현대극에서도 자주 등장합니다. 코러스는 대사를 하거나 몸짓으로 표현하거나 노래를 부르기도 하면서, 무대와 관객의 상호작용을 유도하죠. 그러면서 관객의 반응을 전해주거나 작가의 마음을 대변.. 2022. 7. 13.
오레스테이아 삼부작 오레스테이아 삼부작 오레스테이아 삼부작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이 공연된 것은 기원전 458년 아이스킬로스가 사망하기 2년 전이며 아이스킬로스로서는 그리스 연극 경연대회에서의 13번째 우승이자 마지막 우승이었습니다. 『오레스테이아 삼부작』이 중요한 것은 아이스킬로스의 대표작이라는 점도 있지만, 그리스 비극 삼부작의 전형적인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것과, 현재 남아있는 그리스 비극 삼부작으로 유일한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1부 「아가멤논」, 2부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3부 「자비로운 여신들」로 구성된 이 삼부작은 각기 독립된 이야기로 되어 있으면서도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갖습니다. 그리스극은 신화나 전설을 소재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은데 이 삼부작도 당시의 관객들이 알고 있는 신화 속의 인물과 역.. 2022. 7. 8.
소포클레스와 그의 문학세계 - 오이디푸스 왕 소포클레스와 그의 문학세계 - 오이디푸스 왕 아이스킬로스가 세 개의 작품을 하나로 엮는 삼부작을 고집했다면, 뒤를 이은 소포클레스는 각 작품을 독립적으로 완성시키는 등 그리스 비극의 형식적인 변화와 발전을 이루고 현대 서구 연극의 기초를 다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내용적인 면으로는 비극의 원인을 신에서 인간으로 바꾸는 혁신적인 관점을 도입했으며, 그의 비극은 되게 저항할 수 없는 운명에 휩쓸린 인간의 고뇌를 다룹니다. 주로 그리스 신화와 전설에서 인물을 차용하여 운명 앞에선 나약한 인간, 그리고 인간성의 진실을 보여주면서도 인간의 스스로의 판단과 자유의지를 중요하게 부각합니다. 이제 그의 걸작 오이디푸스 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오이디푸스 왕 소포클레스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이 작품은 기원전 429년에서 .. 2022. 7. 2.
소포클레스 문학세계 - 안티고네 소포클레스 문학세계 - 안티고네 소포클레스와 그의 문학세계 두 번째 시간으로 안티고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오이디푸스가 죽은 후의 일을 다룬 소포클레스의 또 다른 걸작 『안티고네』는 오이디푸스의 큰딸을 다룬 비극으로, 기원전 441년 작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스로 두 눈을 찔러 장님이 된 아버지 오이디푸스의 손을 잡고 테베의 방방곡곡을 헤매고 다녔던 비운의 가족의 맏딸이 바로 안티고네입니다. 자신의 자유의지로 살다 장렬하게 죽어가는 아버지 오이디푸스 못지않게 딸 안티고네의 삶도 비장합니다. 후세 사람들은 안티고네를 '정의의 여신'이라고 부르거나, 남성 중심 사회에서 남성의 권위에 도전하는 '페미니스트'요, '여전사'라고도 부릅니다. 죽음으로 향하는 그녀의 당당함 속에서 사람들은 실정법과 가.. 2022.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