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로마신화, 제우스, 올림푸스 역사20 안티고네에 대한 논란 안티고네에 대한 논란 안티고네에 대한 논란에 대해서 생각해보겠습니다.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는 생각할 거리가 많은 만큼 역사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켜 왔습니다. 프랑스의 극작가 장 아누이는 자신이 개작한 1942년도 『안티고네』에서 안티고네를 나치 정권에 대한 고독한 저항으로 해석하였고, 영국의 소설가 버지니아 울프는 『3기니』라는 작품에서 크레온을 히틀러와 같은 독재자로 묘사합니다. 독일의 철학자 헤겔에 의하면 안티고네는 가족법, 친족법을 대표하고 크레온은 국가법, 실정법을 대표합니다. 이 두 법질서가 서로 양보할 수 없는 갈등과 긴장의 관계라는 그러한 점은 인정하지만, 합법적이고 이성적인 국가법이 성립되려면, 사적인 혈연 중심의 친족법은 마땅히 공공의 선을 위한 국가법에 양보해야 된다, 양보되어야 한.. 2022. 7. 1.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와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작품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와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작품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입니다. 기원전 401년 초연되었던 이 작품은 거지로 추락한 오이디푸스가 안티고네와 함께 갖은 고생을 하다가 아테네 근처의 콜로노스에서 평온하고 행복하게 죽어가는 과정을 그린 비극입니다. 콜로노스는 아테네의 변두리로 소포클레스가 태어난 곳인데 백토가 아름다운 곳이라고 합니다. 아마 흙이 하얀 흙인가 봐요. 오이디푸스가 방랑을 거듭하다가 도착한 곳이 콜로노스인데, 이때는 장님이 된 지 20년의 세월이 흘렀다고 하죠. 아폴론이 일찍이 신탁을 내려 오이디푸스가 생을 마치는 곳에는 축복이 내리고, 그를 쫓아낸 곳은 저주가 있으리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소포클레스는 이 작품에서 정의로운 인간성의 상징인 테세우스 왕과 폭력의 수단에 의지하는 크레온 .. 2022. 7. 1. 고대 그리스 비극 고대 그리스 비극 고대 그리스 문학은 기원전 5세기에 융성했으며 유명한 고대 그리스 연극을 꽃피웠습니다. 유명한 비극 작가로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를 들 수 있고, 희극 작가로는 아리스토파네스가 유명합니다. 소포클레스는 오늘날 부자 갈등을 설명할 때 널리 사용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만들어낸 작가이지요. 그래서 그의 비극 작품 이름이 『오이디푸스』입니다. 오이디푸스는 테베의 왕이었죠. 자기의 잘못이 아니라, 자신도 알지 못하는 운명적 과오로 인해서 자신이 왕으로 있는 테베가 위태로워지자, 결국 모든 것을 자신의 잘못으로 돌리고 자기 눈을 스스로 찔러 장님이 된 후, 딸 안티고네의 손을 잡고 죄를 참회하며 전국을 헤매고 돌아다니다가 죽습니다. 오이디푸스의 딸인 안티고네의 비극.. 2022. 7. 1. 헤파이스토스와 아레스 헤파이스토스와 아레스 헤파이스토스와 아레스입니다. 이 두 사람은 모두 제우스와 그의 정식 부인인 헤라 사이에서 태어난 형제이지요. 고대 그리스인들은 화산 밑에 헤파이스토스의 대장간이 있다고 상상했다고 합니다. 헤파이스토스요, 불의 신입니다. 그리고 대장장이 신입니다. 태어났을 때부터 너무 못 생겼어요. 다리가 성치 않은 불구잔데, 아버지와 어머니가 싸우면서 한 번은 어머니가 집어던지고, 한 번은 아버지가 집어던져서 이리저리 내던져졌기 때문에 불구가 심해졌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아버지, 어머니에게 뭔가 마음에 아주 원한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불의 신 헤파이스토스요, 어머니인 헤라와 갈등을 겪습니다. 그러나 어머니가 아들을 생각해서 권유를 하지요. 아름다운 아프로디테와 결혼해보라고 합니다. 그래.. 2022. 7. 1. 이전 1 2 3 4 5 다음